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JavaScript
- COALESCE
- codedeploy error
- docker
- 도커
- aws cicd
- codebuild
- kubeflow
- bootstrap
- IntelliJ
- Flux
- redis
- Kafka
- Airflow
- Jenkins
- chartjs
- aws
- AWS CI/CD 구축하기
- or some instances in your deployment group are experiencing problems.
- chart.js
- codedeploy
- Spring
- Spring Error
- java bigdecimal
- node
- Python
- SQL
- PostgreSQL
- VPN
- codepipeline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632)
Small Asteroid Blog

gitlab Runner를 사용해 빌드 및 배포를 진행하려 했다. gitlab Runner 설치 및 다운로드 설치 메뉴얼 (공식홈페이지) https://docs.gitlab.com/runner/install/linux-manually.html #download sudo curl -L --output /usr/local/bin/gitlab-runner "https://gitlab-runner-downloads.s3.amazonaws.com/latest/binaries/gitlab-runner-linux-amd64" #실행권한부여 sudo chmod +x /usr/local/bin/gitlab-runner #gitlabrunner로 실행 sudo useradd --comment 'GitLab Runner' ..

방화벽을 다시 설치하신 것 같았다. 방화벽 쪽을 건드리니 사용하던 db와 docker 등이 접속이 안되고 있었다. 도커로 주피터를 올려서 사용하고 있었는데 주피터가 접속이 안되서 도커를 껏다 키려고 했는데 다음과 같은 에러가 나왔다. docker0: iptables: No chain/target/match by that name. docker 를 사용하는 도중 방화벽을 잘못 건드리면 생기는 에러이다. 아래 명령어를 실행 후 도커를 다시 실행해주니 접속이 되었다. sudo iptables -t filter -F sudo iptables -t filter -X systemctl restart docker 위의 방법으로 되지 않으면 아래 방법을 사용한다. Docker 를 실행하면 iptables 에 Docke..
gradle 에 추가하기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hymeleaf' #템플릿 시작 위치 참조 spring.thymeleaf.prefix=classpath:templates/ #템플릿의 확장자 이름 참조 spring.thymeleaf.suffix=.html #해당위치에 파일이 있는지 없는지 체크 spring.thymeleaf.check-template-location=true #캐시를 남기지 않는다. spring.thymeleaf.cache=false gradle 에 추가하기 developmentOnly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devtools' #새로고침으로 바로 반영 가능 s..

첫번째 select 선택시 두번째 select 내용 변경하기 첫번째 select 선택에 따라 두번째 select 내용이 변경됨을 확인할 수 있다.

pyLDAvis.display() 사용중 LDA 결과 내용을 보여주려했는데 다음과 같은 타입에러가 났다. TypeError: Object of type 'complex' is not JSON serializable 내가사용한 LDA display 코드 import pyLDAvis.gensim topicData = pyLDAvis.gensim.prepare(ldamodel, docTermMatrix, dictionary) pyLDAvis.display(topicData) prepare 부분 뒤에 mds 를 지정하면 display가 된다. pyLDAvis.gensim.prepare(ldamodel, docTermMatrix, dictionary, mds='mmds') 결과

import pyLDAvis.gensim as gensimvis 다음 코드를 실행하면 모듈이름이 없다고 나온다. pyLDAvis gensim 이름이 변경된 것으로 위의 코드 대신에 아래 코드를 사용하면 된다. import pyLDAvis.gensim_models as gensimvis 최근 코드 정보를 보고싶으면 아래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github.com/bmabey/pyLDAvis#:%7E:text=pyLDAvis%20is%20designed%20to%20help,an%20interactive%20web%2Dbased%20visualization.&text=Note%3A%20LDA%20stands%20for%20latent%20Dirichlet%20allocation. Gi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