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구/Git32 git 초기설정 및 연결하기 git 초기 설정으로 깃에 올리는 이름과 이메일을 설정해주어야한다. global명령어를 사용하지않으면 깃 push할때마다 이름과 이메일을 설정해주어야 한다. // git commit에 사용될 username git config --global user.name "your_name" // git commit에 사용될 email git config --global user.email "your_email@example.com" // 설정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git config --list git init 으로 깃과 연결해준다 git init git remote add origin 깃주소 // git push --set git push --set-upstream origin master git pull.. 2021. 3. 29. [Git] [rejected] master -> master (non-fast-forward) 해결 방법(강제push) git 을 다른 아이디로 다시 연결하고 git push 작업을 진행하려고 했다. git push --set-upstream origin master 위의 명령어로 실행해도 rejected 라면 push가 되지 않았다 git push --set-upstream origin +master + 를 붙이면 강제 push 라서 git pull 명령어를 실행 후 git push 를 실행할 것을 추천드린다. 2021. 2. 19. WARNING! Using --password via the CLI is insecure. Use --password-stdin gitlab-ci.yml 비밀번호 오류가 나면서 안됨 --password-stdin로 변경해서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에러가 뜨면서 안됨 Error: Cannot perform an interactive login from a non TTY device 해결 docker login 부분에서 $CI_REGISTRY 의 경로가 지정되어 있지 않아 생기는 오류였다. 2020. 11. 3. .git 삭제 명령어 / git 연결끊기 git이랑 연결된 프로젝트의 연결을 취소하고 싶을 때 .git 파일을 삭제해주어야 한다. 프로젝트가 삭제되는것이 아니고 깃과 연결되어있는 .git을 삭제하는 것이다. 삭제하는 명령어는 find ./ -name ".git" | xargs rm -Rf 2020. 10. 30. fatal : not a git repository (or any of the parent directories): .git 초기화 작업이 진행되지 않아 발생하는 오류로 git init 명령어로 초기화 및 기본 설정 .git 디렉토리를 생성해야 한다. # git init # ls -la 그럼 다음과 같이 .git 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020. 10. 30. [GitLab] Permission denied (publickey). 깃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깃에 clone하려고 하는데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니 $ git clone git@gitlab.com:/project.git 다음과 같은 오류가 떳다 공개키 오류인데 $ ssh-keygen 다음 명령어를 치고 엔터 y 엔터 엔터 하면 ssh키가 생성된다 폴더에서 .ssh 폴더를 찾아서 .pub 는 public 으로 메모장으로 열어서 깃 프로필 이미지 -> Profile -> Edit Profile -> SSH Keys 에 들어가 메모장으로 열었던 공개키 전체를 복사해 key 안에 붙여넣으면 title은 자동으로 작성된다. 2020. 10. 12.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