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kubeflow
- codepipeline
- SQL
- aws cicd
- Airflow
- node
- 도커
- codebuild
- chartjs
- codedeploy
- COALESCE
- Spring
- bootstrap
- Spring Error
- PostgreSQL
- java bigdecimal
- VPN
- Jenkins
- redis
- Python
- chart.js
- IntelliJ
- aws
- AWS CI/CD 구축하기
- codedeploy error
- or some instances in your deployment group are experiencing problems.
- Kafka
- docker
- JavaScript
- Flux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637)
Small Asteroid Blog

yum update 하는데 생긴 오류이다. 해결방법으론 현재 사용중인 프로세스를 제거하거나 실행중인 yum 을 제거하면 된다. ps -ef | grep yum kill -9 PID yum.pid 도 삭제해준다 rm -rf /var/run/yum.pid
주피터 노트북과 주피터 랩 둘다 만들어서 사용해야한다. jupyter notebook --generate-config jupyter notebook password jupyter lab --generate-config jupyter lab password /root/.jupyter/jupyter_notebook_config.py jupyter-lab과 jupyter-notebook 동일하다 c.NotebookApp.ip => jupyter-lab 서버 접속IP c.NotebookApp.port => jupyter-lab 서버 접속포트 c.NotebookApp.open_browser => Notebook 실행 시 Browser 자동실행 c.NotebookApp.notebook_dir => 노트북 파일 생성..
nano /etc/ssh/sshd_config PermitRootLogin prohibit-password -> PermitRootLogin yes 로 변경 PasswordAuthentication no -> PasswordAuthentication yes 로 변경 UseLogin no -> UseLogin yes 로 변경 재시작 service sshd restart

하둡이 설치된 경로로 가서 sbin 폴더 아래에서 start-yarn.sh, stop-yarn.sh 혹은 stop-all.sh 를 해주면된다. 처음부터 stop-all.sh을 하지 않는 이유는 master server에서 모든 노드의 HDFS/YARN 데몬을 분리하여 기동,중지를 권장하기 때문이다. 나의 경우 설치된 경로는 /home/hadoop/hadoop-2.7.7/sbin stop 을 했는데 no datanode to stop , no nodemanager to stop 이 나오면서 정지할 노드가 없다고 한다 jps를 통해 3가지만 남기고 다 지웁니다. kill 명령어를 통해 pid를 지우면 datanode가 지워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kill -9 PID 나머지도 지워줍니다. 완료하면 ht..

Entity 에 @GeneratedValue 를 추가해 주지 않으면생기는 오류이다. * generator부분에 관련된 내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