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node
- 도커
- COALESCE
- bootstrap
- kubeflow
- chartjs
- aws cicd
- codedeploy error
- IntelliJ
- Python
- chart.js
- Spring Error
- VPN
- AWS CI/CD 구축하기
- aws
- JavaScript
- Flux
- codepipeline
- Spring
- Jenkins
- docker
- redis
- Kafka
- PostgreSQL
- Airflow
- codebuild
- SQL
- codedeploy
- java bigdecimal
- or some instances in your deployment group are experiencing problems.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611)
Small Asteroid Blog

오늘 하루종일 삽질하고 얻은 정보를 공유하려고한다. 사건의 시작은 목요일 밤.. 서버 과부하로 인해 차단기가 내려가 부서에서 사용하고 있던 서버가 다 내려갔다. 다른 서버들은 다 복구했는데 하나의 서버는 emergency mode로 들어가면서 계속 복구가 되지 않았다.. 이 서버에서 작업을 나만 하고 있는 줄 알고 천천히 해야지 했는데 다른 분께서 접속이 안된다고... 팀장님께서 이쪽 서버에서 퇴사하신분의 정보를 알려주셨던 것이다..! 그래서 부랴부랴 서버를 살리기 위해 접속... 저번에도 한번 겪었던 문제라 그때 해결한 블로그를 다행히 저장해놓아서 그거보고 실행했는데 안됨... askubuntu.com/questions/646414/welcome-to-emergency-mode-think-it-is-a..

차단기가 내려가면서 시스템이 강제 종료가되고 재부팅되면서 emergency mode 에서 서버에 접속이 안되고 있었다. emergency mode에서 재부팅을 해도 해결되지 않았다. SATA를 이용한 스토리지에서 이러한 문제가 종종 생기는데 아래 두개 명령어를 이용해 sdb1을 마운트 시켜주어야한다. 꼭 sdb1를 마운트 시켜주지 않아도 본인이 마운트 하고자 하는 디스크를 선택해주면 된다. 마운트란 디스크와 같은 물리적인 장치를 특정 위치(디렉토리)에 연결시켜주는 것을 말한다. 윈도우의 경우 자동으로 마운트가 되는데 서버 환경의 경우 직접 수행해주어야 한다. umount /dev/sdb1 fsck -y /dev/sdb1 만약 umount /dev/sdb1 명령어 사용 시 "not mounted"가 나와도..

뭐지....? github.io를 만드는 중에 블로그 내용이 바뀌지 않고 빌드 안됬다는 메일이 계속왔다 내용인 즉슨 뭐가 잘몼됬다는건데 내가 해결한 방볍은 gemfile.lock 파일을 지우고 bundle 을 다시 실행시켜주었더니 더이상의 메일은 오지 않았다!

방법1. Table 'DB_NAME.hibernate_sequence' doesn't exist 의 오류가 나오면 다음 내용을 추가 spring.jpa.hibernate.use-new-id-generator-mappings=false 방법 2 @Id //@GeneratedValue(strategy= GenerationType.SEQUENCE) @GeneratedValue(strategy= 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Integer id; SEQUENCE 대신 IDENTITY를 사용한다
_posts : 게시물 assets : css, img, js 이미지는 assets 폴더 이용 메뉴 _data/navigation.yml
포트번호 변경 server.port=8082 데이터베이스 연결 # Database #driver-class-name 은 사용하고자 하는 데이터베이스로 #spring.datasource.driver-class-name=org.mariadb.jdbc.Driver spring.datasource.driverClassName=org.mariadb.jdbc.Driver #spring.datasource.url=데이터베이스 주소 spring.datasource.url=jdbc:mariadb://localhost:3306/gtck?characterEncoding=UTF-8&serverTimezone=UTC spring.datasource.username=아이디 spring.datasource.password=비밀번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