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codedeploy error
- node
- codepipeline
- chartjs
- VPN
- Spring
- AWS CI/CD 구축하기
- Python
- codedeploy
- Kafka
- Spring Error
- redis
- java bigdecimal
- JavaScript
- bootstrap
- COALESCE
- Flux
- kubeflow
- aws cicd
- PostgreSQL
- Jenkins
- docker
- chart.js
- SQL
- codebuild
- or some instances in your deployment group are experiencing problems.
- 도커
- Airflow
- IntelliJ
- aws
- Today
- Total
Small Asteroid Blog
리눅스 top 명령어 옵션 내용 본문
[시스템의 전반적인 상황 실시간 모니터링]
* top [옵션]
* 옵션
-a : 메모리 사용에 따라 정렬
-b : 배치 모드에서 시작
-c : 명령어 대신 명령어 라인을 보여줌
-d : 업데이트 간격을 조정
-h : 도움말
-H : 모든 개별 쓰레드가 보여짐
-i : 좀비(zombie) 또는 Idle 상태의 것들은 무시됨
-m : VIRT 대신 USED를 보고
-M : 메모리 유닛(K/M/G)을 보여줌
-n : 반복의 최대 수를 지정
-P : 지정된 프로세스 ID들만 보여줌
-s : 보안 모드로 시작
-S : 누적 시간 모드로 시작. 활성화되면 각 프로세스는 CPU를 사용한 시간과 함께 출력
-u : 지정된 유효 사용자에 의한 프로세스만 보여줌
-U : 지정된 사용자에 의한 프로세스만 보여줌. 사용자는 실제, 유효한, 저장된 및 파일시스템 UID를 의미
-v : 프로그램 라이브러리 버전을 출력
* top 실행 중 명령어
* 스페이스바 누름 : 화면 갱신
* k : kill 명령
* r : nice 값 변경
* nice는 우선순위를 뜻하며, -20 ~ 20 까지 사용가능. 낮을수록 우선권이 높음. 기본값은 0
* Z : 화면 출력 색상 변경
* a 또는 w를 누르면 색상이 순차적으로 변경되며 보여줌
* z : Z로 변경된 출력 색상과 기본 출력 색상간 전환
* B : 글자 두껍게
* l : top 출력 상단의 load avg 항목 on/off
* t : top 출력 상단의 프로세스와 cpu 항목 on/off
* m : top 출력 상단의 메모리 항목 on/off
* O : 화면 정렬(sort) 기준 지정
* r : nice 조정 (-20 ~ 20. 우선순위 높음 ~ 낮음)
* q : top 종료
'클라우드 및 인프라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tos 7 에 htop 설치하기 (0) | 2021.06.14 |
---|---|
“E: Unable to locate package python-pip” on Ubuntu 18.04 [duplicate] (0) | 2021.06.11 |
리눅스 재부팅 이유 -> 리눅스 메모리 오류 (0) | 2021.06.10 |
리눅스 환경변수 설정 env (0) | 2021.05.18 |
centos7 postgresql 설치하기 (0) | 2021.05.12 |